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0:25
본문
Download :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hwp
그 반면 전문가나 고위관리자가 비정규직으로 일할 확률은 극히 낮았다. 직종별로는 서비스직, 농어업 숙련근로 및 기타 단순노무직에 많은 수의 비정규직이 몰려있었으며, 이들의 비중은 1996년과 비교해 2000년에 더욱 더 증가하였다. ,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생활전문레포트 ,
설명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가 어떤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비정규직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이와 사실들을 개관해 본 후, 비정규직이 겪는 사회적 差別(차별) 의 현실을 정부, 고용주, 그리고 동료 노동자로부터의 배제로 나누어 살펴봤습니다. 대졸 이상이 비정규직으로 일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도소매·음식·숙박업은 임시직의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산업으로, 2000년 이 산업의 상용직 비중은 건설업보다도 낮은 23.7%로 하락하였다.
Download :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hwp( 51 )
레포트/생활전문






순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가 어떤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비정규직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의와 사실들을 개관해 본 후, 비정규직이 겪는 사회적 차별의 현실을 정부, 고용주, 그리고 동료 노동자로부터의 배제로 나누어 살펴봤습니다. 상용직의 비중이 가장 낮은 산업은 농림어업으로, 1996년 14.1%에 불과했던 상용직의 비중은 2000년 한자리 숫자(8.3%)로 떨어졌다.
I. 연구의 의의
II. 비정규직의 定義(정이) 및 규모: 과연 누가 비정규직인가?
III. 비정규직 차별과 배제의 다양한 차원
1. 政府(정부)로부터의 배제: 기본적 市民권의 박탈
2. 고용주로부터의 배제: 다양한 간접고용의 양태
3. 동료 노동자로부터의 배제
3.1. 정규직 노동운동과의 갈등
3.2. 노동자성(性)에 대한 부정: 비임금 비정규직
IV. 결론 및 정책해결해야할문제
상대적으로 저학력층이 비정규직을 구성하는 비율이 높은 사실은 쉽게 예측 가능하다.
III. 비정규직 차별과 배제의 다양한 차원
1. 政府(정부)로부터의 배제: 기본적 市民권의 박탈
근대 복지국가의 政府(정부)는 노동市民에게 사회적 市民권(social citizenship)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Marshall …(省略)
,생활전문,레포트
다. 농림어업 종사자들 중에는 특히 일용직의 비중이 높은데, 역시 많은 일용직을 고용하고 있는 건설업보다도 약 20%가 많은 77.1%가 일용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