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뇨와 라니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6:02
본문
Download : 엘니뇨와라.hwp
즉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인 해양의 열용량 (해양 하층의 해수온도 변동)을 관측으로부터 입수하여 이를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관측에 나타난 해양의 메모리를 모형에 인식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모형의 예측능력을 향상시킨 것이다.기상 엘리뇨 라니뇨 기상현상 라마마 / 생활 기상 이야기 윤성탁 지음 단국대학교출판부 지구 과학 탐사 임태훈 지음 동녘 지구 환경 과학 Ⅱ 한국지구과학학회편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http://www.danke.x-y.net/e7-5.htm http://rose0.kyungpook.ac.kr/~z9928019/ http://kiss2000.co.kr/environment http://atmos.pknu.ac.kr/~swimm/study/lecture/chap10/sea10.htm http://env21.new21.net/dic/detail-08/8-5.htm http://envinews.co.kr/enview1 (기상)
http://www.danke.x-y.net/e7-5.htm
3. 라니냐의 기사
Download : 엘니뇨와라.hwp( 49 )
http://atmos.pknu.ac.kr/~swimm/study/lecture/chap10/sea10.htm
엘리뇨를 예측하는 모형은 통계 모형 (CC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중간 단계 대기-해양 접합 모형 (Intermediate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 혼합 모형 (Hybrid Coupled model), 대기-해양 대순환 모형 (CGCM;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등이 있다 이들 모형중 Zebiak and Cane(1987)에 의하여 개발된 중간 단계 대기-해양 접합 모형은 1986-87년 엘리뇨를성공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엘리뇨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모형으로 최근까지 인정되었다.
과거에 엘리뇨는 확률론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었으나, 이 견해는 점차 결정론적으로 바뀌고 있다 엘리뇨가 결정론적인 현상이라면 예측 가능성은 매우높다.
Ⅴ. 마치며
2.엘니뇨의 실태
1. 라니냐 발생 Cause
Ⅰ. 들어가며
http://rose0.kyungpook.ac.kr/~z9928019/
기상 엘리뇨 라니뇨 기상현상 라마마 / 생활 기상 이야기 윤성탁 지음 단국대학교출판부
5. 엘리뇨 예측 가능성
설명
1.엘니뇨의 발생Cause
엘리뇨와 라니냐
http://envinews.co.kr/enview1
2, 라니냐의 effect(영향) 으로 인한 기상이변
Ⅲ. 라니냐
지구 과학 탐사 임태훈 지음 동녘
4. 엘니뇨가 한반도에 미치는 effect(영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Ⅳ. 엘리뇨와 라니냐에 이은 라마마의 등장
(기상)





7.엘니뇨와 남반진동
http://kiss2000.co.kr/environment
지구 環境(환경) 과학 Ⅱ 한국지구과학학회편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순서
3.엘니뇨 발달과 세계 기후 변화
6.엘니뇨현상에 대한 신문기사
기상 엘리뇨 라니뇨 기상현상 라마마
http://env21.new21.net/dic/detail-08/8-5.htm
Ⅱ. 엘니뇨란?
다. 엘리뇨가 결정론적 현상이라는 증거는 해수면 온도 변동에서 보다는 수온약층의 변동에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중간 단계 접합 모형이 올해 엘리뇨 예측에 실패한 Cause 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올해의 엘리뇨를 유발한 해양의 메모리가 모형의 초기상태 (initial condition)에 적절히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엘리뇨 지수와 적도 지방의 해수온도 편차의 지연 상관 분포를 살펴보면, 엘리뇨 최성기의 18개월전 해수면온도 변동과는 관련성이 적지만 열대 서태평양 하층 (subsurface)의 해수온도와는 큰 상관성이 있다 이는 엘리뇨가 결정론적인 현상으로 예측 가능함을암시하며 또한 해양 하층의 변동이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 임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CGCM의 예측 능력이 향상된 것은 모형 자체의 improvement(개선)보다는 축적된 해양의 관측資料를 이용한 모형의 資料 동화 (assimilation)에 기인한 것으로 인식된다. 즉 중간 단계 접합 모형을 이용한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는 모형의 초기 상태를 바람의 응력 資料 만을 이용하여 얻기 때문에 이로부터 유도되는 해양의 하층 변동이 제대로 모의 되지 않을 경우 예측에 있어서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1990년 전까지 예측 능력이 저조했던 CGCM을 이용한 엘리뇨 예측이 올해를 포함한 최근의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높은 정확성을 보임으로써 예측에 적극 활용되기 스타트했다. 그러나 올해의 강력한 엘리뇨를 예측하지 못하여 모형의 drawback(걸점)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