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data(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02:18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자료].hwp
③ 부하설비 용량에 대한 열원설비용량을
합리적으로 설정 할 수 있다
④ 시간에 제약이 없고, 공조 설비에 이용가능① 대기오염의 방지
② 에너지의 유효이용, 배열이용도가능
③ 도시의 방재수준의 향상
④ 인적자원의 절약
⑤ 냉동기의 냉각수 문제의 해결
지역냉난방에서 고려되고 있는 열매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난방용 열매
고 온 수 - 고압 고 온수 (170℃∼230℃, 8∼30 기압)
- 중압 고 온수 (100℃∼170℃, 1∼ 8 기압)
보통온수 - 100…(생략(省略))
다. 이 가운데서, 가장 대규모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서울의 신시가지로 일컬어지는 목동지구 아파트단지로서 1987년에 열병합발전 설비의 형식으로 완공된 지역난방 방식이며, 이를 계기로 해서 대단위 주거단지의 난방을 위한 지역난방 방식을 기타 여러 지역 및 지구에서 활발히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advantage(장점) ① 건물스페이스와 운전요원의 감소
② 화재, 소음에 대한 염려가 없다.
지역냉난방의 특징은 집중에 의한 능률화와 관리의 합리화이며, 이들의 advantage(장점) 을 종합해 보면 아래표와 같다.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자료] ,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자료]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지역냉난방 대해서 a+자료
Download :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자료].hwp( 52 )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data(자료)]
사회과학,지역냉난방,대해서,a+자료,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지역냉난방에 대해서[a+data(자료)]
설명
Ⅰ.전체정이
⊙지역냉난방
지역냉난방이란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각종 건물시설에 열매(냉온수 및 증기)를 필요에 따라서 중앙열원 플랜트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시설이다(규모가 적은 경우에는 그룹 또는 블록 냉난방이라고도 부른다).지역난방은 1870년대에 유럽 및 미국에서 증기기관의 배기를 주변 건물에 공급하여 난방이나 공업 프로세스에 이용하기 위해 출현된 것이 그 시초였다.
우리나라는 1973년에 대한주택공사가 건설한 서울의 반포아파트 단지에서 지역난방 방식을 최초로 채택하였으며, 이후 많은 새로운 아파트 단지에서 이 방식을 보급발전시켰다. 그 후, 20세기에 들어와 구미 각지에서 서서히 발전되기 처음 하였으며, 특히 유럽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전후 부흥과 주택단지 건설에 적극적으로 채용되게 됨으로써 급격한 보급발전을 보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