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의 사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20:56
본문
Download : 이방의 사도.hwp
(사도행전 22:3)
⑥바울은 두 개의 이름이 있었는데 유대식의 이름은 사울이고, 헬라-로마식 이름은 바울이었다.(갈라디아서1:13, 빌3:5)
⑨율법에 대한 열심 때문에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박해했던 바울은 갑자기 다메섹으로 가는 도중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 회심하게 되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통해 신앙에 입문하게 된다된다. 사도행전에서 그가 길르기아의 다소에서 태어났음에 대해 밝힌다. 또한 이방인들은 율법 없이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비의 소식을 기쁨으로 받아들임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었다.
-내가 이전에 유대교에 있을 때에 행한 일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하나님의 교회를 심히 핍박하여 잔해하고 내가 내 동족 중 여러 연갑자보다 유대교를 지…(생략(省略))⑧바울이 그의 유대적인 배경에 관해 말할 때 그는 유대적인 특별한 특징으로 율법에 대한 열심을 언급할 뿐 아니라 그가 교회 박해자 이였음을 첨가한다.
,인문사회,레포트
한글06
이방의 사도 바울의 출신과 성장, 사상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 글입니다.한글06 , 이방의 사도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이방의 사도.hwp( 27 )
이방의 사도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사도행전 9:11, 21:39, 22:3)
②바울의 가족은 엄격한 유대교 집안이었고 바울은 베냐민 지파의 자손이었다.
설명
가. 바울의 출신
①바울은 헬라 유대교 출신이다. 베드로가 유대인에게 복음을 전했다면 바울은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한 임무를 받았다고 스스로 소명에 대해 밝힌다.
⑦바울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그가 자신의 동족 가운데서 그와 나이가 비슷한 사람들보다 유대교에 앞섰으며 자신의 조상들의 전통을 지키는 데 열심이었다고 말한다. 사도가 스스로 유대인임을 밝히는 곳에서 우리는 그가 갖고 있던 율법에 대한 관심과 율법 준수의 철저성을 엿 볼 수 있다
②바울의 회심에 대해 보도하고 있는 사도행전의 본문들과 달리 바울은 그의 삶을 이런 중요한 시간을 단 몇 마디로 언급하고 있따
③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소명을 체험하였고 하나님을 보았다고 말하였고 바울은 심리적인 측면을 서술하고 있지 않고 그의 삶을 더 굳건히 세운다는 측면을 말하고 있따
④바울은 그에게 부여 된 임무를 통해 사도직을 그를 향한 하나님의 은총으로 이해한다고 볼 수 있따 (로마서1:5)
⑤바울이 부여 받은 임무는 할례의 복음을 전한 베드로에게 뒤지지 않는다.
나. 바울의 회심
①로마서 7장은 바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1인칭 단수로 이야기 된 구원받을 수 없는 인간의 상황을 보고 한다.
이방의 사도 바울의 출신과 성장, 사상에 대해 간략하게 說明(설명) 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