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problem(문제점)과 제안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19:49
본문
Download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hwp
·이존희 : 지리적 한계를 가진 일정한 공간으로서, 흔히 ‘서울’에 대비되는 定義(정이) 으로 사용한다. 반면에 ‘지역’은 그 자체 독립된 定義(정이) 이다.
·고석규 : ‘지방’은 ‘중앙’과 맞선 말로서, ‘중앙’에 종속된 말이다.
·정진영 : ‘지방사’는 특정 지방 공동체의 전체사, 즉 지방 공동체의 기원·성장·해체를 연구하는 history(역사) 를 말한다.
·노명식 : ‘향토사’라 한다면 연구자의 조상이 대대로 살아 온 자기 고향의 history(역사) 에 대한 애향적 태도가 깔려 있고, ‘지방사’라면 제 고향이건 아니건 애향적 감정이 없이 일정한 지역의 자료(data)를 조사한다는 탈주관적 뉘앙스가 짙다. ‘지방사’는 지배층 중심의 부분적인 history(역사) 가 아니라, 어떤 공동체를 정치구조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인구변동·경제발전·文化(문화)가치의 변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연구할 것을 요청하는 ‘전…(생략(省略))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problem(문제점)과 제안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국사교과서서술에있어서지방의용례가갖는문제점과제안연구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Ⅰ. 머리말
Ⅱ. ‘지방’의 용례와 그 분석
Ⅲ. ‘지방’과 ‘지역’의 혼용에
따른 몇 가지 문제가되는점
Ⅳ. 맺음말 : ‘지방’의 서술
용법에 대한 제안
Ⅱ. `지방`의 용례와 그 분석
1. `지방` 및 `지방사`의 定義(정이)
최근에 ‘지방사’·‘지history(역사) ’·‘향토사’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그 연구의 내역이나 방법론 등을 살피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사’·‘지history(역사) ’·‘향토사’ 등의 定義(정이) 은 명확히 요약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앙’과 ‘지방’은 공간을 수직으로 나눈 定義(정이) 이고, ‘지역’은 수평적인 공간 定義(정이) 이다. 향후 ‘지방’의 용례 검토와 분석을 위해서, 이들에 관한 기왕의 논의를 간략하게 검토해 보기로 하자.
(1) `지방사` 중심
·이기백 : 그 고장 출신의 향토인이 향토애를 바탕으로 한 자기인식의 정감어린 표현을 ‘향토사’, 이에 대하여 ‘지방사’는 타지역 출신까지 참여하여 그 연구의 폭이 개방된 보다 객관화된 학문으로서의 지방history(역사) 이다.
Download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hwp( 27 )
순서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problem(문제점)과 제안 연구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국사교과서서술에있어서지방의용례가갖는problem(문제점)과제課題안연구
다. 그러나 국내를 대상으로 할 때는 ‘지방사’로 통일해서 쓸 것을 제안한다. ‘지방’은 서울에 속하지 않는 지역, 즉 ‘시골’이라는 뜻도 포함된다 ‘지방’이란 ‘향토’ 또는 ‘향촌’과는 다르며, ‘지방사’라는 용어 역시 ‘향토사’니 ‘향촌사’와는 같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