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theory 과매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사회학습theory 에 대해 가능한한 자세히 설명(ex…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8:18
본문
Download : bandu[2].hwp
반듀라에 따르면, 운전자가 학습하는 것은 인지적인 처리를 거친 정보이며, 이롭다고 생각되는 방식으로 실행하였다. observe학습에는 모방이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였다.)
박찬옥 2002, 유아의 사회적 능력 형성, 유아교육학술대회(한국어린이육영회)
우종하, 2000 인간 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지금까지는 모방과 observe학습이란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 왔으나, 반듀라는 이 두 용어의 구분이 아주 중요하다고 하였다.(홍순정, 1997)
홍순정, 1997 교수학습theory 과 매체 . 한국방송대출판부.
( 예: 운전 중에 차 앞에 웅덩이가 있는 것을 보고, 이것을 observe하여 차가 손상되지 않고 웅덩이를 피하기 위해서 차를 비껴가게 운전할 것이다. 만약에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기대가 성립되면 필요한 행동을 수행하려는 결정을 내린다.)
2. 인지적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원리
Bandura & Albert(1997) Self-efficac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역(1999). 교육과학사.
서봉정, 1999 발달의 theory . 중앙적성출판사.
학습과 실행에서 반듀라는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정보는 그렇게 할 만한 이유가 있을 때 즉, 필요성이 있을 때에만 실행에 옮겨진다고 하였다. (예: 우물이 어디에 있는지를 잘 알고 있지만, 목이 마를 때만 그 정보를 실행에 옮긴다. 그에 의하면, 사람들은 어떤 행동이 자신과 타인에게 주는 효율를 observe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미래의 성공 여부를 가늠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 확신감으로서 반듀라는 자기효율성(self-efficacy)이라고 불렀으며, 개인의 자기효율성은 반복된 assignment관련 경험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발달한다.
[교수학습theory 과매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사회학습theory 에 대해 가능한한 자세히 설명(explanation)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해보시오.
반두라, 사회학습,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대한고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유아교육과
레포트 >
- 다양한 data(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반듀라의 연구(1981, 1986)에서 사회학습theory(이론)의 조망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observe로부터 학습은 했으나, observe한 것을 모방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observe학습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흉내내는 단순한 모방 이상의 복잡한 것이다.
Hjelle. L . A & Ziogler, D . J(1983). personality theories. 이훈구 역(1998). 법문사.
Download : bandu[2].hwp( 68 )
Salkind, Neil J.(1994)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정옥분 역(2002). 교육과학사.
1) observe학습
사회학습theory(이론)은 인간의 행동은 보상이나 처벌의 조작결과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을 observe하고 모방한 결과로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Bandura & Walters, 1963, 김성희 외 재인용)
5) 논의점
안영진, 1998 영. 유아 발달총서. 정일출판사.
사회학습theory(이론)과 행동주의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행동주의자들이 철저하게 observe 가능한 외현적 행동에 상대하여만 관심을 가진 반면, 사회학습theory(이론)가들은 인간의 내적 과정을 인정함으로써 인간학습의 인지론적 경향을 함께 수용하였다. David R. Shaffer(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송길연외 역(2000). 서울:시그마프레스.
1. observe학습에 대한 說明(설명)
2) observe학습의 네 가지 구성 요소
설명
순서
![bandu[2]-544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bandu%5B2%5D-5441_01.gif)
![bandu[2]-544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bandu%5B2%5D-5441_02_.gif)
![bandu[2]-544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bandu%5B2%5D-5441_03_.gif)
![bandu[2]-544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bandu%5B2%5D-5441_04_.gif)
![bandu[2]-544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bandu%5B2%5D-5441_05_.gif)
6) 정리(arrangement)(요약).
www.emory.edu/EDUCATION/mfp/bandurabio.html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 유아교육과 4학년 교수학습theory 과매체 B형 참고data(資料)입니다
Phares, E & Jerry(1987). Introduction to personality. 홍숙기 역(1989). 박영사.
대표적인 학자로는 반듀라를 들 수 있으며, 그는 모방과 observe학습을 강조하였다. (김성희 외 1998)
3) 상호결정주의로서의 사회학습
4) 교육의 시사점
- 방통대 2010-1학기 유아교육과 4학년 교수학습이론과매체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성희, 허혜경, 1998 유아 발달. 교육과학사. 서봉정, 1999 발달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안영진, 1998 영. 유아 발달총서. 정일출판사. 우종하, 2000 인간 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홍순정, 1997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 한국방송대출판부. 박찬옥 2002, 유아의 사회적 능력 형성, 유아교육학술대회(한국어린이육영회) Bandura & Albert(1997) Self-efficac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역(1999). 교육과학사. David R. Shaffer(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송길연외 역(2000). 서울:시그마프레스. Hjelle. L . A & Ziogler, D . J(1983). personality theories. 이훈구 역(1998). 법문사. Phares, E & Jerry(1987). Introduction to personality. 홍숙기 역(1989). 박영사. Salkind, Neil J.(1994)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정옥분 역(2002). 교육과학사. www.emory.edu/EDUCATION/mfp/bandurabio.html
1. observe학습에 대한 說明(설명)
(참 고 문 헌)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data(資料)] 김성희, 허혜경, 1998 유아 발달. 교육과학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