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의 미학-〈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05:19
본문
Download : 《금오신화》의 미학-〈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hwp
자세한 구조를 살펴보면
가-양생, 조실부모하고 혼자 만복사 동쪽 방에서 살다/ 공중에서 배필 얻게 될 것을 알림/ 부처 앞에서 저포내기에서 이김/ 여인(환신)과 불전에서 만남/ 만복사 행랑 끝에서 정을 나눔/ 함께 여인의 집(묘)에 가서 사흘 지냄
나-여인과 이별하면서 보련사로 가는 길에서 재회 할 것을 약속/ 여인의 정표(주발)로 보련사에서 여인의 부모와 여인을 만남/ 여인이 2년 전 왜구에 죽은 혼령임을 알게 됨
다-함께 하룻밤을 지냄(사랑)/ 업을 피할 수 없어 영원한 이별을 함/ 양생은 장가가지 않고 지리산에 들어가 약초 캐며 마친 바를 알지 못함
라-여인 부모의 인정과 재산 증여/ 정식 장례와 제 지냄/ 여인의 재산을 모두 팔아 재 올려 명복 빌다/ 그 결과여인은 선국(仙國)의 남자로 환생(극락환생)
위에서 가,나, 다, 라의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눈 것은 한 단락에 하나씩의 갈등과 화해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 …(省略)
금오신화란 무엇인지 그리고 特性은 무엇인지 등에 관련되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때 만남은 인연에 의한 것이고 이별은 업(業)에 의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금오신화
《금오신화》의 미학-〈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금오신화란 무엇인지 그리고 특성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금오신화 , 《금오신화》의 미학-〈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금오신화》의 미학-〈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hwp( 71 )
설명
순서
Ⅰ. 갈등과 화해의 구조
〈만복사저포기〉의 전체적인 이야기는 사랑의 이야기로 일관 되어져 있고 주된 구성은 ‘만남과 이별’의 연속적 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