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ochon.or.kr [컴퓨터] 사이버세상(cyberworld) 과 자아정체성 > gyochon1 | gyochon.or.kr report

[컴퓨터] 사이버세상(cyberworld) 과 자아정체성 > gyochon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yochon1

[컴퓨터] 사이버세상(cyberworld) 과 자아정체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23:31

본문




Download :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hwp







- 대리자아: 사이버 공간은 비물리적인 정보만이 존재하는 공간이므로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를 대신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 (사이버세계 자아정체성) 1. 자아정체성 2. 사이버세계에서의 나 3. 현실의 나와 사이버세계의 나 4. 공동체로서의 가상공동체

사이버자아정체성, 가상공간자아, 사이버자아정체성, 가상공동체, 사이버나는누구
- 익명성과 다중 정체성
설명
전통적 구조의 전근대 사회에서 개인은 정해진 정체성을 바꾸지 못하고 정체성의 위기를 느끼지 않음
현실공간의 나는 나의 신체에 결박되어 있으며, 하나의 신체가 하나의 자아정체감을 보장함. => 다양한 시간과 장소,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나 의 신체는 그 모습들을 하나로 묶어 안정된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토 대를 제공함
-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 내적 동질성과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 다른 사람들이 인정하는 동질성 및 연속성과 정확하게 합치되는 확신감 을 얻게 되는

2) 자아정체성의 형성

2. 사이버세계에서의 나
현실에서의 자아정체성의 상당부분은 주어진 것에서 출발하며, 타인의 시선과의 지 속적인 교류를 통해 형성된다
사이버세계에서의 나
- 주어진 조건이 아니라 조건 그 자체를 스스로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 => 개인의 모습이나 사회적 역할 혹은 지위가 비교적 고정적인 현실세계에 비해 사이버 세계는 자신의 모습이나 역할을 무한정 變化시킬 수 있다고 느낌. => 사이버세계는 자신의 관심에 따라 새로운 자아를 표현하는 경험을 하며, 새로운 자아의 모습을 탐색할 수 있는 實驗(실험)장소가 됨. => 그러나 모든 사람이 정체성 實驗(실험)에 몰입하는 것은 아님. 또한 모든 사람이 현실과 다른 자신의 모습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 => 그렇다면 어떤 特性을 가진 사람들이?
3) 나의 정체감 확립정도 측정(measurement)하기

3. 현실의 나와 사이버세계의 나

Download :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hwp( 80 )


4. 공동체로서의 가상공동체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9616_01.gif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9616_02_.gif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9616_03_.gif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9616_04_.gif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9616_05_.gif
레포트 > 기타

순서


사이버세계에서의 인간관계나 교류도 이미지적인 속성을 지님. 현실세계와 달리 그 모습이 즉각적이며 다른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음. 교류에 의한 책임 혹은 처벌이 현실세계에 비해 약함 => 다양한 實驗(실험)이 가능하고 새로운 정체성 탐색 기회를 제공함. => 개별적인 特性 하나하나가 한 개인의 정체성으로 나타남.=> 다면적인 자아, 복합 정체성.

-사이버세계에서 특정 개인의 정체성은 ‘표현되는 모습 그 자체’임.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 따라 고정된 실체란 없고, 공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공통적인 의미나 내용에 따라 존재의 모습이 정해짐.
<중략>
[컴퓨터] 사이버세상(cyberworld) 과 자아정체성

사이버세계(cyberworld) 에서 나는 누구인가? (사이버세계 자아정체성)
* Erikson의 자아정체감(ego-identity) 발달정도




자아정체감: 인간이 성장하면서 갖게되는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의 역할, life(인생) 目標(목표), 가 치관 또는 이념 등에서 자기가 지니는 독特性에 대한 자각(자기의식)과 이에 부합되는 자기통합성과 일관성을 유지해나가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박아청)
근대사회에서 정체성은 유동적이고 개인적이며 다중적이며 變化할 수 있는 대상. 개인이 사회적 역할을 선택 수행하고 일생을 통해 여러 개의 다른 정체성을 경험할 수 있음. 기든스는 근대사회의 정체성을 “개인적인 경력에 따라 외부와의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정이






<중략>
익명성은 타자의 부재를 가져옴. 라도삼은 많은 사람들은 현실공간을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실질적인 힘과 규율이 있는 공간이라 생각하지만, 가상의 공간에 대상으로하여는 실질적인 影響(영향)력이 없는 가짜의 공간으로 받아들임 => 익명성의 문제는 이러한 타자의 상질에서 오는 것으로, 상대가 나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사실과 다중 정체성을 통해 순간적인 욕망이나 욕구에 충실하고 총체적인 정체성을 구성하지 못한다고 지적
- 사이버세계에서 나는 신체가 삭제된 상태로 존재함. => 나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혹은 구속하는 토대가 없는 상태로 존재함. => 다양한 관계 속에서 부유하는 존재 혹은 존재들 그 자체

다른 사람과 분리되는 하나의 개체라는 경험 => 자아 concept(개념)이 한 개인 에게서 지속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정체성 혹은 자아정체성임. => 한 개인이 스스로를 다른 사람과 구분시킬 수 있는 물리적ㆍ사회적ㆍ심리적 모습을 지칭함.
현실공간의 정체감은 ‘타고나는 것’ 혹은 ‘주어진 조건’에서 출발함. => 집안, 성, 외 모, 출신지역, 특정 국가의 국민 등등... + 나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 는 대인관계의 特性 등등


=> 정체성 實驗(실험)하기와 나를 표현하기

1. 자아정체성

다.
전체 6,19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yochon.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