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인식의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4:01
본문
Download : 역사 인식의 기초.hwp
- 동양에서는 사마천(중국(China) 한, BC 135~84?)의 <사기>에서
역사(歷史)는 “사실의 객관적 기록”이라는 의미가 더 부각되고
허신(후한)의 <설문해자>에도 사는 ‘사관 또는 공평무사한 기록’의 의미로 해석
- 서양에서는 헤로도투스(그리스 ,BC 484~430)가 historia(=페르시아 전쟁사)에서 제기한 역사(歷史)는 일의적으로 “탐구하여 발견되고 확인된 사실”이고, 부차적으로 “사실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라 는 정이 (19세기 독일의 랑케에까지 연결)
·독어 ‘Geschichte` : 일어나고 있는 일, 일어난 일, 일어난 일에 대한 지식과 이야기
·영어 ‘History`(희랍어 히스토리아) : 탐구해서 얻은 지식
(직접 탐구해서 확인된 것만 히스토리아이고, 그 외의 것은 로고스, 즉 이야기라고 하여 역사(歷史)기록과 구분)
- 그 후 동서양이 모두 둘을 함께 이해하는 방향으로 통일
0 지금은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19세기 이전까지 “역사(歷史)는 ‘인간들이 행한 제 사실들과 사건들’, 그 리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탐구 지식 및 사실들에 관한 정확한 기록’”이라고 인식
0 conclusion 적으로 역사(歷史)란?
①객관적인 사실로서의 역사(歷史)(역사(歷史)적 사실) : 일어난 일, 일어나고 있는 일 = 발자취 …(drop)
history인식의기초
레포트/인문사회
본 자료는 역사 , 인간, 역사철학, 역사관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history 인식의 기초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 역사(歷史)란?
2. 역사(歷史)의 가치
3. 역사(歷史) 인식의 주체이자 객체인 “나”는 누구인가?
4. 역사(歷史)를 보는 눈 - 역사(歷史)학, 역사(歷史)철학, 역사(歷史)관 紹介
※ 근대 한국사학과 사관
1. 역사(歷史)란?
0 어원으로 본 정이
- 역사(歷史)는 한자이지만 그 원형인 금문에서 보면 역자는 “이어서” “엮어온”(기록이란 의미 내포, 역의 발음도 여기서 옴) 것이라는 우리말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따 뜻으로 보면 역은 세월, 세대, 왕조 등이 하나하나 순서를 따라 계속되어 가는 것으로서 ‘과거에 있었던 사실’이나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을 의미하며, 사란 활쏘기 할 때 옆에서 적중한 수를 계산 기록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로서 ‘기록을 관장하는 사람’ 또는 ‘기록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Download : 역사 인식의 기초.hwp( 36 )
다. 역사인식의기초 , 역사 인식의 기초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본 자료는 history , 인간, history철학, history관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